[오양심 칼럼] 오늘이 행복한 나라에서

오양심 2019-01-03 (목) 17:09 5년전 745  

2c4477dbd3162e47b0d17a9553e0dd34_1546502928_4412.png
<오양심 주간>

 

우리는 새해가 되면 행복해지기 위하여 꿈을 꾸고 목표를 설정한다. 하지만 출발을 바로 시작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좋은 때와 좋은 장소를 기다리느라 소중하고 귀한 시간과 시기를 놓쳐버린다. 무언가를 이루고 싶다면 지금 이 순간, 내가 처한 곳에서부터 즉각 행동해야 한다.  언행일치는 ‘오늘이 행복한 나라에서’ 꿈을 이루고 국태민안 목표를 이루는 비결인 것이다.

문재인대통령은 '오늘이 행복한 나라'라는 제목으로 2019년 신년사를 했다. ‘동지섣달에 북풍이 불면 풍년이 든다.’는 속담을 서두로, 국민 모두의 가정과 기업에 대풍이 들기를 기원했다. 우리는 오늘이 행복한 나라를 꿈꾸고 있고, 우리 아버지 어머니들은 한평생 일에 묻혀 살면서도, 자식과 국가가 잘되는 것을 보람으로 여기며, 자신을 위해서는 한 푼의 돈도 쓰지 않았다고 했다. 그 결과 세계 경제 강국으로 성장한 나라를 만들어 놓았지만, 선진경제를 추격하던 경제모델이 한계에 다다라서 시대적인 시행착오를 겪게 되었다고, 다시 우리들의 부모님과 함께 오늘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

올해 100세를 맞이한, 연세대학교 철학가 김형석 명예교수는, 새해 첫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꿈이 확실했던 ‘안창호, 황순원, 윤동주처럼 살자’고 청년들에게 말했다. ‘별 헤는 밤’ 등을 쓴 윤동주 시인과는 같은 반에서 공부했고 ‘소나기’ 소설을 쓴 황순원 작가는 선배였다면서 그들은 중고생 때부터 시인이 되겠다는 그리고 소설가가 되겠다는 꿈이 확실했다고 말해 주었다. 나라의 독립을 향한 열망과 애국심으로 가득 찬 안창호 선생도 독립운동가의 꿈이 확실했다고 고백했다.

김형석 교수는 우리 시대의 혐오나 폭력의 원인은 상대가 아니라 자신이라고 단언했다. 우리 사회의 잘못된 점은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아야하며, 이기적인 욕망을 위해서 살게 되면 미래가 불행해진다고, 마부작침(磨斧作針)을 서슴없이 가했다. 서로가 협력하고 사랑을 주는 삶을 이끌어간다면 행복이 우리를 기다려준다고, 사회에 대한 책임을 망각하거나 포기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고도 했다. 지금 우리 정치는 투쟁이 투쟁을 낳은, 더 큰 집단 이기주의로 나라와 국민을 불행하게 만드는 주범이라고 했다. 정치인은 국민을 위해 주장을 대화로 양보하며, 문제를 해결해야 ‘오늘이 행복한 나라가 된다.’고 조언했다.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가 안중근은, 국가안위노심초사(國家安危勞心焦思)를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안중근은 16세부터 아버지가 동학군을 진압할 때 함께 참가했다. 삼흥 학교를 설립하고, 돈의학교를 인수하여 백년지대계라는 교육에도 전념했다. 항일무장투쟁을 시작한 후에는 일본군 정찰대를 공격하여 격파했다. 이토 히로부미를 태운 열차가 하얼빈에 도착하여 군중 쪽으로 발길을 옮기는 순간, 권총으로 이마를 명중시켰다. 여순 감옥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때까지 안중근은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모범을 보였다.

우리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를 행하는,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인격을 갖추어한다. 돈을 사랑하기보다는 일을 사랑해야 한다. 일의 목적은 출세나 명예가 아닌 삶의 의미와 가치에 부합되어야 한다. 우리는 예부터 인격이 없는 사람을 이치에 어둡고 어리석은 무지렁이라고 했다. 무지렁이가 되기 않기 위해서는 가족하고만 잘 먹고 잘사는 사람이 아닌, 이웃과 사회에 봉사하는 삶을 우선순위로 해야 한다. 의사는 환자를 먼저 사랑해야 한다. 정치인은 국민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우리 모두의 기쁨은 ‘오늘이 행복한 나라에서’ 사는 것이다.